리콜? 제조업체의 양심을 보다!

리콜이란 경제용어로 상품에 결함이 있을때 다시 제조업체가 그 제품을 회수하여 검사한후 고쳐주거나 교환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Recall은 원래 비리를 저지르거나 능력없는 대표를 임기가 끝나기 전에 해임하는 것을 의미했었습니다.

그러다 제품이도 비슷한 뜻이 적용된것이죠.

 

그렇다면 제조업체입장에서 리콜은 이득일까? 아니면 손실일까?

자발적으로 해야할까? 걸렸을때 마지못해 해야할까?

 

당연히 리콜은 한번 해주면 엄청난 부대비용이 들어갑니다.

순이익에 영향을 줄 터이니 당연히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치죠.

미국은 리콜1번하면 주가가 1~6%까지 떨어진다는 보고도 있다합니다.

 

 

그런데 모르는척하고 끝까지 버티기를 진행한다면 어떨까?

리콜에는 자발적 리콜과 강제적리콜이 있습니다.

 

자발적 리콜은 제조업체가 제품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스스로 제품을 회수해가는 것을 말합니다.

강제적 리콜은 정부가 강제로 제품을 내보내 버리는것이죠.

 

 

소비자입장에서 생각하면 더 좋습니다.

한 기업의 회장도 사람인지라 실수는 할수 있습니다.

물론 실수는 제조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실수일수도 있겠죠.

하지만 모든 책임은 경영자의 몫이지 않습니까.

 

 

소비자들은 모두 압니다. 이기업이 쓰레기인지 선한업체인지.!

 

과거 미쓰비시 자동차는 당시 냉동차의 제동장치의 이상이 있는 걸 알면서도 모르는척했습니다.

결함사실이 알려지자마자 63만대에 달하는 자동차가 리콜되었죠.

결함을 숨기려다가 도산 위기까지 가게 되었던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잘 아는 도요타의 경우에도 760만대의 리콜사태가 벌어지기도 했었습니다.

도요타는 원래 장인정신으로 최고의 품질을 제공했었지만 해외생산을 늘리면서 이러한 사태가 벌어졌다며 책임을 떠넘기다가 더 욕만 먹었습니다.

 

버티지말고 자발적으로 리콜을 했었다면 기업의 책임감을 자연스럽게 홍보를 할수 있어 광고비 수천억원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버티다가 걸리면 신뢰도는 바닥으로 떨어져 버리죠.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리콜에 적극적입니다.

문제점이 발견되자마자 리콜을 해버리니 엄천나 비용을 들여 홍보한것보다 효과가 더 좋다는걸 알았으니깐요.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당 ^ ^

사업자 정보 표시
KT소렘 | 이승호 | 서울 광진구 군자동 10 | 사업자 등록번호 : 206-30-53077 | TEL : 010-2927-4925 | Mail : ktsorem@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1012서울광진079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블로그 이미지

로드맥스코리아 공식블로그

첨단보안장비 전문업체입니다^^ 1544-3512

,

독점vs과점 뜻의 차이점!

 

여러분은 뉴스나 신문에서 독점, 과점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셧을 겁니다.

과연 그 뜻은 어떻게 다를지 알아보겠습니다.

 

 

독점: 시장을 한 기업이 좌지우지하는 경우 독점이라는 단어를 씁니다.

물건을 공급하는 기업이 하나밖에 없다면 독점이겠죠.

또한 경쟁상대가 되는 대체재가 아에 없는 상황도 마찬가지로 독점이겠죠.

즉, 가격을 마음데로 좌지우지 할수 있는 위치라고 보면 되겠네요.

 

 

독점을 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로는 전력이나 도시가스, 상하수도 서비스입니다.

왜 독점시장이 형성될까?

- 초기투자비용이 수조원이 들어가는 사업이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이윤을 남기는 짭짭한 사업아이템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업이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시달리게 된다면 신생업체는 생존위협을 받을게 뻔합니다.

진입장벽이 높은것이죠.

 

바로 이러한 상황들 때문에 독점시장이 가능한겁니다.

하지만 무한정 가격을 올릴순 없으니 걱정마요.

그런걸 적절히 규제하려고 정부가 있는 거니깐요!

 

그렇다면! 과점은 뭐여????????????

 

 

과점: 과점은 적다라는 단어의 뜻대로 몇 안되는 기업이 독점하고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독점은 아닌데, 뭐 몇개의 업체가 독점을 한다고 보면 되는 것이죠.

 

과점시장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이윤을 높이려 할까?

뭐 쉽죠. 담합! 뉴스에서 많이 들어보셨죠?

경쟁업체들끼리 합의해서 업체간 과열경쟁을 막기위해 서로 약속하는것이죠.

대표적인 예로는 석유수출국기구의 담합입니다.

 

석유공급의 40%정도를 차지하는 이들은 담합으로 인해 가격을 올리곤 하죠.

 

이같은 짭짤한 과점체계가 유지되려면 경쟁업체들끼리의 악어와 악어새가 되는 항호 의존적 관계를 유지해야합니다.

 

우리나라는 이동통신, 가전제품, 자동차들이 있겠죠.

정말 열받지만 어쩔수 없이 넉놓고 당할수밖에 없는...

 

 

 

이제 독점과 과점에 대해서 정확이 이해하셨죠? ^ ^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KT소렘 | 이승호 | 서울 광진구 군자동 10 | 사업자 등록번호 : 206-30-53077 | TEL : 010-2927-4925 | Mail : ktsorem@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1012서울광진079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블로그 이미지

로드맥스코리아 공식블로그

첨단보안장비 전문업체입니다^^ 1544-3512

,

국동 (005320) 기업분석 현황 및 전망

니트의류 수출(OEM) 기업인 국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황

-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에 따른 의류소비 감소 및 제품 단가 하락으로 전년대비 매출액이 감소하였습니다.

원부자재 가격하락 등으로 원가 부담 완화되어 영업이익률이 전년대비 상승하였고,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하였습니다.

순익시현, 차입금 일부 상환 등으로 전년말 대비해서 제 안정성 지표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불안불안한 상황입니다.

전망

- 글로벌 경기의 점진적인 회복으로 의류수요가 다소 증가할 전망이나 국내 OEM업체 간 경쟁심화로 매출 회복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여집니다.

원부자재 가격은 안정적이나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 채산성 저하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여집니다.

자산 대비 차입금 부담이 과중한 가운데, 대규모 유상증자 결정으로 운전자금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을 기대해 볼수 있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KT소렘 | 이승호 | 서울 광진구 군자동 10 | 사업자 등록번호 : 206-30-53077 | TEL : 010-2927-4925 | Mail : ktsorem@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1012서울광진079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블로그 이미지

로드맥스코리아 공식블로그

첨단보안장비 전문업체입니다^^ 1544-3512

,